여는 글
최근 휴가를 다녀왔습니다.
3박4일 동안 약 1,200km를 돌아다니면서 여기저기 다녀오게 되었는데요.
마지막 일정이었던 군산에서 있었던 일 입니다.
군산에는 이성당이라고 아주 오래되고 유명한 빵집이 있는데 가게 건너편에 무료 개방 주차장이 있어 관광객들이 이곳에 주차를 많이 하게 됩니다.
저도 이 주변에 주차를 하고 식사를 위해 움직이는데 마음이 좀 아픈 내용이 있어 여러분께 공유하게 되었네요.
주차할 때 타이어를 잘 봐주세요.
자, 주차장에 공교롭게도 동일한 컬러의 차량 2대가 있습니다. 백색의 더뉴그랜저ig 모델이죠.
두 분 다 아주 정상적으로 주차를 한 것 같지만 자세히 보면 마무리가 좀 다릅니다.

좌측 차량의 주차 상태를 보면 아래사진과 같이 방지턱에 타이어를 아주 잘 밀착시켰습니다.
타이어 트레드와 방지턱이 수평으로 맞닿아 있고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냥 봐도 아주 편안하죠.

그런데 우측의 차량을 보면 이야기가 조금 다릅니다.
아마도 좌측 차량의 편의를 위해 차량을 우측에 밀착시키려 하셨던 것 같은데
문제는 타이어가 방지턱 측면에 아슬아슬하게 끼어 들어간 상태였습니다.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방지턱 측면에 타이어 사이드월이 살짝 끼여버린 상태인데 자세히 보면 타이어가 뭉그러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는 지면과 닿는 트레드 부분은 아주 강하게 설계되어 있지만,
타이어 측면(=사이드월)은 비교적 약하고 타이어의 역할 중 하나인 충격 흡수를 위한 역할을 해야하므로 타이어에서 가장 연약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이런 상태에서 타이어를 아래와 같이 주차를 하게 된다면 타이어의 영구적인 손상을 줄 수 있고, 정말로 '혹'이 생겨버릴 수 있습니다.

타이어에 혹이? 타이어 코드 절상 알아보기
꿀밤 한 대 맞으면 혹이 생기듯 타이어도 정말 혹이 생길 수 있습니다.
콘티넨탈 타이어 홈페이지의 내용을 빌리자면 아래와 같이 사진 예시와 내용이 있습니다.
한 번 읽어보시면 좋은데 요약해드리자면 '타이어 케이싱 파손으로 인해 코드 절상(=혹)'이 발생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타이어 구조를 보면 오돌도돌한 홈이 나져 있고 지면과 닿게 되는 트레드(Tread)가 있고
그 안에 타이어 공기압을 감싸주는 타이어의 골격인 카카스(Carcass)가 있으며
그 사이에 외부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 파손으로 인한 외부 영향을 막아주는 코드(Cord)층이 있는데 이 코드층이 파열되면서 삐져나온 공기압이 타이어 사이드월을 밀어내면서 혹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당연히 이대로 주행을 계속하게 되면 약한 부분으로 압력이 집중되게 되고 결국 타이어가 펑하고 터져 버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손상은 수리가 불가에 당장 교체를 해야 하는 상황이 되는 것 입니다.

닫는 글
자, 이제 우리는 타이어에 혹이 생기는 원인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다시 한 번 우측 그랜저의 타이어를 살펴볼까요? 타이어가 위태로워 보이실겁니다.
물론 이렇게 주차 한 번 한다고 쉽게 타이어 내부가 파열되지는 않을 수 있지만,
앞서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타이어 외부에서 육안으로 판단할 수 없기에 더욱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방지할 수 있는 팁을 드리자면 이런 식으로 주차를 하게 되면 타이어가 밀리면서 '끼익'거리는 소음을 발생하게 되니 주차를 할 때 타이어 비명소리를 잘 들어보시기 바라며, 주차를 완료한 뒤 타이어를 한 번 둘러보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겠습니다.

'[자동차 관련 정보] > 운전을 글로(도) 배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들 안돌렸다고 범칙금 4만원? 올바른 경사로 주차 방법 알아봅시다. (2) | 2023.03.16 |
---|---|
도로에서 욕먹는 운전자 사례 - 브레이크편(6가지 유형) (2) | 2023.02.27 |
(To.초보)눈쌓인 도로보다 위험한 지하주차장&경사진출입로 주의! (0) | 2023.02.09 |
(To.초보)눈 맞은 차, 제발 '이 버튼' 좀 누르고 타세요!! ft.뒷유리열선 (8) | 2022.12.14 |
운전 중 사각지대가 무섭다면? 차량 안에 설치하는 보조 거울 리뷰 (0) | 2022.07.11 |
도로 안전표지 잘 안보일 때 초미세먼지 팁 (0) | 2022.04.21 |
노면 표시를 이상한 비율로 만드는 이유 (1) | 2022.03.09 |
전조등 어둡다 하기전에 '이것'부터 확인하세요! (0) | 2021.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