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차량별 취급설명서] 176

현대 갤로퍼2(2000) 취급설명서

intro. 한국에서도 슬슬 올드카에 대한 문화가 생겨나기 시작한게 대략 10년 정도 된 것 같습니다. 자동차 좋아하는 사람들로 똘똘 뭉친 커뮤니티에서 점점 리스토어 하는 분들이 생겨나기 시작하더니 한 때 중고차 시장에서 갤로퍼의 씨가 마르고 가격이 치솟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특히 더 모던한 디자인의 갤로퍼1의 매물이 정말이기 구하기 어려웠죠. 그러나 그 이후에는 다시 리스토어 완료된 차량들이 중고차 시장에 나오기도 하고, 요즘은 여행 유튜버들이 사서 타고 다니는 모습도 볼 수 있네요. 아무래도 낭만과 현실에 대한 차이가 좀 있어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기아자동차는 단종된 2000년 이후의 대부분의 차량들의 취급설명서를 막아놨고, 현대는 그나마 조금 나은 모습입니다. 제가 파일을 모으던 시절 기..

현대 더뉴맥스크루즈(2018) 취급설명서

최근 팰리세이드 페이스리프트 디자인이 공개 되었죠? 카니발이나 스타리아와 같은 완전한 MPV는 싫고 온전한 대형 SUV를 좋아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팰리세이드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하나 없이도 여전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소개하는 차량의 존재 자체를 모르시는 분들도 상당히 많은데 맥스크루즈는 싼타페의 롱바디 버전이자 팰리세이드의 전신인 차량입니다. 앞만 봐서는 싼타페와 구분이 어렵고 뒷모습에서 테일램프가 조금 다르다 싶으실텐데 싼타페보다 휠베이스가 무려 10cm나 길기 때문에 실내 공간과 적재 공간에 있어서는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차량입니다. 레저 차량이 인기를 끌고 신차 대기 장기화에 힘입어 맥스크루즈가 다시 각광받고 있는 상황이고, 최신 적용된 첨단 안전 장비들도 대거 들어가 있..

현대 1세대 싼타페(SM,2005) 취급설명서

20년에 가까운 역사를 가진 SUV인 싼타페, 그 1세대 모델의 취급설명서 입니다. 차량 코드명은 SM이었고 이후 CM, DM, TM으로 이어집니다. 아마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SUV라는 개념은 험로만 다니는 투박한 차량에 가까웠다면 쌍용 렉스턴을 기점으로 하여 도심형까지 아우르는 변곡점이 있었고 모노코크 바디를 사용하게 된 건 현대의 싼타페가 더 빨랐습니다. 디자인적으로도 화난 근육적인 디자인이 대거 도입되어 국내 뿐 만 아니라 까다로운 북미 시장에서도 사랑을 많이 받았던 모델입니다. 현재는 2005년식의 것만 남아 있어 2.0 디젤에 대한 정보 뿐 이지만 2.7리터 기화기 방식의 LPG모델도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디젤이 아닌 suv를 처음 타본 차량이 이 차량인데 가속 패달이 무거워도 너무..

현대 라비타(2004) 취급설명서와 디자인 이야기(designed by pininfarina)

안녕하세요, 유니크한 것을 좋아라하는 마이라이드 입니다. 안그래도 얼마전부터 라비타라는 차량의 취급설명서를 정리해서 올려야지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오늘 점심 먹으러 나갔더니 참 보기 힘든 차량인 라비타가 보여 바로 정리를 해봤습니다. 아마 '라비타'라는 차량이 있었는지도 모르는 분들이 계실텐데 이 차량, 꽤나 스토리가 있습니다. 아무리 차를 잘 모르시는 분들이라 하더라도 '페라리'는 아실텐데 이 페라리의 차량 디자인에 대거 참여한 전설적인 인물 중 하나가 '피닌파리나'라는 사람입니다. (자동차 디자인이 제조사에서 100% 다 할 것 같지만 유명 디자인 업체와 함께 진행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고 세대 3대 자동차 디자인 회사 중 하나에 이 분이 있었던 것 입니다.) 이 대단한 분이 디자인에 참여한 차량에는 ..

2011년 싼타페 더스타일(2세대 후기형,CM) 취급설명서

지금은 경유 엔진에 대한 니즈와 관심이 많이 사라진 상태이지만, 몇 해 전까지만 해도 'SUV=디젤'이라는 공식이 마치 진리인양 느껴지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지금의 현대기아 suv가 있기까지는 여러 이유들이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2.0/2.2리터의 R엔진이 공이 상당히 크지 않나 싶습니다. 2리터 남짓한 배기량이지만 커다란 차체를 가뿐하게 이끌 수 있던 R엔진은 답답함을 싫어하는 우리나라 다수의 운전자들의 마음을 훔쳤고 크게 성공할 수 있었던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 R엔진이 들어간 첫 번째 중형 SUV가 바로 2세대에 해당하는 싼타페CM, 싼타페더스타일로 불리던 차량입니다. 현대자동차 공식홈페이지에서는 2006년식부터 2011년식까지 구분이 되어 있는데 2009년식부터 R엔진이 들어갔다고 보시면 됩니다...

2세대 싼타페(CM,2008) 취급설명서(초기형 R엔진X)

2세대 싼타페 취급설명서를 정리하는 와중에 씁쓸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마이라이드 입니다. 지금도 길에서 쉽게 볼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2세대 싼타페의 코드명은 CM으로 2005년부터 3세대인 DM으로 풀체인지 되던 2011년까지 출시되었습니다. 그리고 지금의 싼타페까지 이어져 오는 디젤엔진인 R엔진이 처음으로 들어간 모델이 바로 CM으로, 2009년에 출시되었습니다. 따라서 현재 현대자동차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을 수 있는 2006~2008년 모델과 2009~2011년 모델의 취급설명서가 분리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후기형은 별도로 업로드 예정입니다.) 따라서 원래는 2006년식을 올리고 싶었지만 그럴 수가 없었습니다. 혹시나 제가 실수로 파일을 잘못 받은건가 싶어 몇 번이나 확인을 했지만..

현대 1세대 투싼(JM,2005) 취급설명서

싼타페와 함께 현대자동차 suv 라인업의 터줏대감인 투싼입니다. 초기형 1세대 모델로 코드명은 JM입니다.개인적으로는 이 정도 크기, 이런 디자인을 굉장히 선호합니다. 왜냐면 지금봐도 디자인이 무난하니 질리지 않는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2.0 VGT 디젤 모델이 주를 이루지만 2.0리터 가솔린 베타 엔진이 들어간 모델도 있었고 지금도 찾아보면 은근히 매물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냉각수온 게이지 삭제는 참을 수가 없네요.) 지금도 suv는 타고 싶고, 디젤은 싫은 초보운전이나 연 주행거리가 많지 않은 분들에게는 nf쏘나타나 로체와 함께 추천 드리고 싶은 모델입니다. 이후에 출시된 투싼ix(코드명 : LM)도 아주 큰 사랑을 받았지만 두 모델 모두 시간이 지난 지금 돌이켜 보면 디자인은 1세..

기아 로체이노베이션(2010) 취급설명서와 찬양글! ㅋㅋ

여러분들은 국산차량들 중 한 눈에 확 들어온 차량이 있으신지요? 저는 있었습니다. 바로 오늘 소개하는 로체이노베이션 모델이 그러했죠. 때는 바야흐로 k131 레토나를 몰고 상급 부대에 운행을 나가서 선탑자를 무작정 기다리고 있는데 대형 상급부대이다 보니 개인용 차량들도 많이 드나들었습니다. 멍하니 차량안에서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새하얀 세단 한 대가 들어와 주차를 하는데 정말이지 깜짝 놀라버렸습니다. 물론 이후에 1세대 K5가 출시되면서 이 세상 모든 관심이 이쪽으로 쏠려버렸지만, 사실 로체이노베이션에 피터 슈라이어 형님의 대명사인 호랑이코 그릴이 먼저 적용되었고, 일명 '불판휠'로 사랑을 받았던 레이저 커팅 휠도 k5보다 로체이노베이션 모델에 먼저 적용되었습니다. 날씬한 눈매와 수많은 led가 박힌 테..

기아 뉴쏘렌토R(2014,2세대 쏘렌토F/L) 취급설명서

2세대 쏘렌토r 모델의 후기형인 일명 '뉴쏘렌토R'입니다. 초기형 모델이 NF쏘나타를 베이스로 만든 반면 광고에서도 '플랫폼이 바꼈다'고 자랑할만큼 신형인 YF쏘나타를 기본으로 만든 차량입니다. 페이스리프트의 개념이 풀체인지와 무색할 정도로 난해하기 시작한게 아마 이쯤부터가 아닌가 합니다. 물론 그동안은 파워트레인에 플랫폼까지 변화되어야 완전한 풀체인지라고 하는 공식이 있었는데 아마 이때부터 상당부분이 많이 바뀌지 않았나 싶네요. 그리고 'F/L전후로 하체의 변화가 있다'는 한 문장을 보고 제가 조사를 조금 해보니, 2세대 초기형에서는 엔진을 떠받치는 서브프레임이 #형태였는데 반해 뉴쏘렌토r로 바뀌면서 크로스맴버라고 불리는 방식인 일자형 막대형식으로 변화가 되었더군요. 그런데 개인적으로는 이 변화가 그닥..

기아 쏘렌토R(2010) 취급설명서(매뉴얼,사용설명서)

아무리 요즘에 suv가 대세라고 해도 진정한 대세를 이뤘던 시절의 시작에 있었으며 그 주인공인 차량이 바로 쏘렌토R입니다. 2.5리터 A엔진이 들어간 1세대 쏘렌토도 바디온 프레임 바디에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플랫폼을 모노 코크로 바꾸고 연비와 힘 모두 상당히 좋았단 R엔진의 시작점에는 바로 오늘 소개할 차량인 쏘렌토r과 현대의 싼타페cm의 후기형 모델이 있습니다. 기아 로체이노베이션의 디자인을 suv에 성공적으로 접목시킨 모델로 세단과 SUV간 패밀리룩을 시도한 의외로 몇 안되는 차량이기도 합니다. 체어맨과 렉스턴2가 있고 또... 기억나는게 없네요. 아무튼 이 쏘렌토r은 본격 도심형 suv의 장을 연 대표적인 모델이기도 하며 쏘렌토 역사상 2세대 모델(2022년 현재 판매 모델은 4세대)에 해당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