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관련 정보]/자동차 관련 정보

나도 모르게 '눈뽕러'일수도? 올바른 방향지시등 전구 색상 이야기

마이라이드 2022. 1. 26. 00:00
반응형

안녕하세요, 마이라이드 입니다. 

여러분, 도로에 나가면 3대 눈뽕러가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유형부터 떠오르시나요?


1. 눈뽕러 3대천왕 유형

뭐니뭐니 해도 가장 흔한 유형은 역시나 '상향등' 마니아입니다. 자기가 밝으니 그냥 켜고 나니는 사람들인데 잘 몰라서 그런 경우도 많지만 심지어 알면서도 그냥 내 앞이 밝으니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받아랏, 태양빛!

 

국내 차량 법규상 어찌보면 다행 중 하나라서 흔하지는 않지만 종종 목격되는 유형이 있으니 바로 '후방 눈뽕러 대왕'인 '후방 안개등' 마니아가 있습니다. 국산 차량들은 전방 안개등은 흔해도 후방 안개등까지 들어가는 차량들은 흔치 않죠?

안개등, 안개 꼈을 때 써주세요!

 

가령 SM5와 같은 차량들은 후방 안개등까지 넣어주는 경우가 있는데, 문제는 전방 안개등에 비해 훨씬 더 강렬하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전방 안개등이야 빛이 퍼지기는 해도 보통 27w 전력을 사용하는 전구를 사용하며 빛이 모이지 않기 때문에 솔직히 맑은 야간에 켜고 다녀도 저는 전혀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그러나 후방 안개등은 빛이 다릅니다. 아래사진 샘플을 보면 물론 해당 차주께서는 안개가 많이 낀 날 제대로 사용을 하셔서 문제가 없었지만, 맑은 저녁에 이 후방 안개등을 켜고 다니면 뒤쪽에서 따라오는 차량 운전자는 정말이지 짜증이 제대로 납니다.

후방 안개등은 맑은 날에는 제발...

 

그런데 정작 위의 2가지 사례는 그냥 쉽게 차주를 욕해버릴 수 있지만, 은근히 도로에서 자주 보이는 세 번째 눈뽕러가 있으니 바로 '방향지시등 눈뽕러'입니다.

뭐야 방향지시등 켜지 말라는 얘기야?

 

2. 방향지시등 전구 선택이 중요하다!

아뇨. 그게 아닙니다. 당연히 켜야하고 심지어 좌회전 전용 차로에서도 깜빡이를 켜야 합니다. 아니면 저처럼 신고 당해서 경찰분들에게 혼쭐이 날 수도 있습니다.

 

교통법규위반 사실확인요청서 받은 후기(좌회전 전용차로 방향지시등)

안녕하세요, 신고왕 마이라이드 입니다. 제 꾀에 제가 넘어간다 고 저도 드디어 블랙박스 영상 신고를 당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 과정에서 대처를 어떻게 했고 결과는 어떤지 알려드리도록

myride.tistory.com

 

다만 고장이 났을 때 방향지시등을 교체하게 될텐데 이때 전구의 규격을 제대로 모르면 '나도 모르게 방향지시등 눈뽕러'가 되어 있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는 이야기입니다. 그 이유는 '내 차 규격에 맞는 올바른 전구'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차량별로 다르긴 하지만 어떤 차량들은 방향지시등 램프 외부의 커버 자체에 노란색 코팅이 들어 있는 경우가 있지만 그렇지 않고 그냥 투명한 커버를 사용하는 차량도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올뉴모닝의 테일램프를 보면 방향지시등 커버 부분이 노란색으로 되어 있습니다.

외부에 커버가 컬러면 '클리어 전구' 사용!

 

반면 제 차량인 아베오를 보면 방향지시등 커버가 그냥 투명한 색상입니다. 이럴 때는 방향지시등 전구를 아무거나 사용해서는 안되고 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색상을 내기 위해서 코팅이 된 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외부에 커버가 클리어면 '코팅 전구' 사용!

 

앞서 설명드린 전구를 나란히 두고 비교해보면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전구 유리 부분의 외형의 코팅 여부 외에는 모든 것이 동일한 전구이죠.

(좌)코팅전구 (우)클리어전구

 

3. 왜 방향지시등 색상이 중요한거야?

왜긴 왜겠어요. 우리나라 법이니 그런 것이죠 뭐. 별 대단한 이유는 없습니다.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44조 방향지시등을 보면 6항에 '등광색은 황색 또는 호박색으로 할 것'이라고 규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아마 이 색상 규정이 없다면 각종 컬러가 난무하게 되어 운전자들에게 통일적인 기준을 제시하기 어려울 것이고, 무엇보다 아래에서 실험으로 보여드리겠지만 나머지 컬러는 운전자 시야를 방해하게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예외는 있습니다. 간혹 빨간색 방향지시등 또는 브레이크등이 깜빡 거리는 차량을 보신 적이 있을텐데, 이는 한미 FTA 규정에 의해 수입되는 차량의 경우에 한 하여 합법적으로 인정을 해주는 경우입니다. 그렇다고 멀쩡한 국산차에 갑자기 빨간색 방향지시등을 넣는다고 합법이 되는건 아니라는 점 알고 계셔야 합니다.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44조 방향지시등 등광색 규정

 

4. 방향지시등 색상 실험

제 차량을 가지고 직접 실험을 해봤습니다. 앞서 설명드린대로 제 차량의 방향지시등은 노란색 코팅이 되어 있는 전구를 사용해야 하는 차량입니다. 전구의 형식은 PY21W라는 코팅전구 규격을 사용해야 하는데, 여기서 Y(yellow)는 코팅이 된 전구임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막상 실험을 하려고 생각을 해보니, PY21W 전구는 있지만 아무런 코팅이 없는 P21W 전구가 없었습니다... 제 차량만 유독 이상한 규격을 쓰는건지는 모르겠는데, 소켓 규격이 조금 특이한 규격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전구 소켓의 성격을 대변하는 별도의 규격이 있는데 돌출 부위가 일직선 상에 있는 전구(BA15S)를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제 차량의 경우는 150도짜리(일명 V각, BAU15S)를 사용하기 때문에 구하기도 좀 어렵습니다.

돌출 부위 각도가 150도인 싱글전구 규격은 BAU15S

 

그런데 때마침 우측의 방향지시등 색상이 좀 이상하길래 꺼내보니 코팅이 서서히 벗겨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완전히 코팅을 벗겨 버리고 실험을 하게 되었죠...

코팅을 벗겨 버리자.

 

어떤가요? 소켓 부위에 약간의 코팅 필름만 남아 있을 뿐 이제 대부분의 코팅이 없어졌다보니 충분히 비교실험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네요.

급 P21W 전구(진)

 

정상적인 전구(코팅전구)는 좌측에, 필름이 없는 전구는 우측에 설치를 해봤습니다. 대충 봐도 방향지시등 자리 안쪽에 주황색 빛이 아른 거리는 곳이 필름 전구가 들어 있고, 우측에는 그냥 아무런 컬러도 반사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좌)정상 코팅전구 (우)클리어전구

 

조금 더 가까이에서 확대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좌측 방향지시등 안에는 제대로 코팅이된 전구가 보이네요.

코팅 전구가 보이는 좌측

 

반대로 우측은 전구가 들어 있지만 아무런 코팅이 없으니 그냥 깨끗해 보이네요. (셀프스포일러! 우측과 같은 상태가 더 깔끔하고 예뻐 보이니 이런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해 조만간 별도의 포스팅 예정입니다. 커밍순~)

클리어 전구가 보이는 우측

 

이제 방향지시등을 점등시켜 보겠습니다. 아래 움직이는 사진에 보시면 좌우측의 색상 차이가 보이시나요? 실제로 육안으로 볼 때는 훨씬 더 차이가 극명하지만 낮이다보니 차이가 크게 느껴지지는 않네요.

(좌)코팅전구, (우)클리어전구 비상등 점등 테스트

 

사진으로도 담아봤습니다. 일단 코팅전구가 들어간 왼쪽은 한눈에 봐도 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황색 또는 호박색이 잘 점등되고 있습니다.

이것이 호박색이다!

 

각도를 조금 다르게 봐도 동일하죠.

이것이 황색이다!

 

반면 클리어 전구가 들어간 우측은 훨씬 백색에 가까운 빛을 냅니다. 아무런 코팅이 없다보니 전조등과 같이 그냥 백색의 빛을 냅니다.

나는 맑고 선명하지만 당신에게 눈뽕을 할거야.

 

K값이 훨씬 높은 LED나 HID 전구만큼이나 순백색을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필라멘트에 빛이 나오는 그대로 외부로 방출되다보니 전혀 호박색이나 황색이라 할 수는 없는 컬러입니다.

방향지시등을 켜면 나를 보고 헤드램프라 생각하고 쫄겠지? 힣!

 

여기까지만 보시면 이렇게 생각하실 수도 있겠네요.

뭐 이 정도 가지고 눈뽕이래...?

 

그래서! 추운 겨울날 밤이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내려가서 야간 촬영을 해봤습니다.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사진상으로 보니 이 정도이고 실제로는 훨씬 더 오른쪽이 눈이 부십니다. 왼쪽은 그냥 그런가보다 싶은 정도인데 반해 오른쪽은 눈이 너무 부셔서 짜증이 날 정도입니다.

나는 눈뽕러다.gif


여러분들의 차량은 어떠신가요?

방향지시등에 확실히 제대로된 전구를 사용하고 계신지요?

나도 모르게 눈뽕을 하고 있거나, 역으로 굳이 노란 커버 안에 코팅 전구를 쓰고 계시지는 않나요?

반응형